본문 바로가기
투자 일반

손절매의 중요성과 손절매 방법

by 앙드레리버 2022. 4. 12.
반응형

손절매의 의미, 중요성

 

손절매는 '손해를 잘라버리는 매도'라는 뜻으로 영어로는 'loss cut'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손해를 잘라버린다는 것은 손실이 커져서 회복 불가능할 정도가 되기 전에 작은 손실로 그 규모를 제한한다는 의미입니다.

 

다음의 표는 1,000만 원을 투자했을 때 손실률과 손실 회복을 위해 만회해야 하는 금액과 수익률을 표시한 것입니다.

손실률과 원금회복에 필요한 수익률

손실률이 작을 때는 원금 회복을 위한 수익률이 손실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손실률이 커질수록 필요 수익률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손실률이 50%라면 원금 회복을 위해서는 100%의 수익률을 달성해야 하는데 이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런 이유로 작은 손해로 확정짓는 손절매에 대해 그렇게 강조하는 것입니다.

 

손절매 방법

이전 포스팅에서 주식 매수 이유와 매수시점 파악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매수 시점을 잘 잡아야 손절매를 제대로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 매수 시점 파악

주식을 매수하는 이유 사실 우리가 주식을 매수하는 이유는 아주 단순합니다. 가격이 오를 것 같아서죠. 지금 매수하면 나중에 좀 더 비싼 가격에 팔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매수하는 겁니

long-short123.tistory.com

 

이전 포스팅과 연계해서 손절매 방법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우선 지분경쟁에 의한 주식 매수는 손절매 대상이 아니므로 제외합니다.

 

다음으로 가치투자에 의한 주식 매수의 경우에는 손절매 기준이 주가가 아닌 기업의 가치 변화입니다. 예상치 못한 악재 등 기타 사유로 처음 평가한 가치에 심각한 손상이 온다면 손절합니다.

 

마지막으로 트레이딩 관점에서 주식을 매수한 경우가 가격을 기준으로 하는 손절매 대상입니다.

 

보통 매수 가격의 3~5%, 혹은 10% 하는 식으로 일정 비율 이하로 떨어지면 손절하라고 많이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매수 시점을 잘 선택했다면 일정 비율이 아닌 저점의 지지가 무너졌을 때 손절을 하면 됩니다.

 

손절 시점 표시 차트

물론 저점 지지 붕괴의 기준을 종가 기준으로 할지, 붕괴되는 시점으로 할지 등 구체적인 매뉴얼이 필요하며, 이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스스로 만들어가야 합니다.

 

또 한 가지는 기간 손절입니다. 보통 급락의 경우 급등을 기대하며 매수합니다. 그런데 급락 후 반등이 미미하고 옆으로 횡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횡보하다 상승할 수도 있지만 하락 추세에서는 횡보 후 추가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어떠한 경우든 매수 이유가 급락 후 급등을 기대한 것이었으므로 예상과 달리 움직인다면 손절을 합니다. 

 

손절은 그것이 가격이든 기간이든, 혹은 가치 변화이든 그 어떤 것이든 내가 주식을 매수한 이유에 반하는 결과가 나왔을 때 하면 됩니다

 

그러하기에 주식 매수 이유와 시점을 분명히 해야 하고, 주식을 매수할 때 동시에 손절 시점도 명확히 정해놔야 합니다.

 

반응형

'투자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과 주가  (0) 2022.05.04
금리와 주가  (0) 2022.04.28
주식 매수 시점 파악  (0) 2022.04.11
역발상 투자  (0) 2022.04.09
추세추종 매매기법, 피라미딩 전략  (0) 2022.03.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