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매수하는 이유
사실 우리가 주식을 매수하는 이유는 아주 단순합니다. 가격이 오를 것 같아서죠. 지금 매수하면 나중에 좀 더 비싼 가격에 팔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매수하는 겁니다.
조금 예외적인 경우가 지분경쟁에 의한 주식매수입니다. 그리고 가치투자를 할 때인데, 이경우 시점의 문제일 뿐 결국에는 싼 가격에 사서 제 값(비싼 가격)을 받으려는 것이니 궁극적으로는 시세차익이 목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 매수 이유에 따른 매수시점 차이
주식을 매수하는 이유에 대해 먼저 언급한 것은 그 이유에 따라 매수시점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지분경쟁 때문이라면 가격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무조건 많이 확보하는 것이 목표이죠. 차트분석이나 가치분석이 전혀 필요 없는 상황입니다.
다음으로 가치투자의 경우, 매수시점은 기업의 가치가 현저하게 저평가되었다고 판단될 때입니다. 이경우 주가가 하락하는 추세여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죠. 오히려 실제 가치보다 훨씬 더 낮은 가격에 매수할 수 있으니 땡큐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 같은 일반인이 트레이딩 관점에서 접근할 때는 매수 후 바로 상승할 수 있는 시점이 최적의 매수 타이밍입니다.
이를 위해서 기술적 분석이 필요하고 확률적으로 성공 가능성이 높은 방법을 연구해야 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매수시점 분석법에 대해 언급해보겠습니다.
주식 매수 시점
주식 매수 시점은 횡보구간(혹은 상승추세)에서 위쪽의 저항선(전고점)을 상향 돌파할 때, 그리고 상승추세가 진행되는 중에 조정(눌림목 구간)을 받을 때가 가장 대표적인 매수 타이밍입니다.
전고점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에는 많은 거래량이 수반되고, 장대양봉이나 갭상승으로 치고 올라가야 좀 더 안정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조정을 받을 때는 이동평균선이나 전고점, 추세선의 지지, 장대양봉 범위 내 조정 등 나름의 근거가 필요하며, 미리 예측하고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확인 후에 매수하는 것이 좀 더 안전합니다.
물론 전고점 돌파나 눌림목 구간 매수가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상승하는 듯하다가 다시 반락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다만 상승추세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성공적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다음으로 개인들이 많이 선호하는 낙폭과대 시점에 매수하는 것입니다.
급락의 경우, 급등이 연출될 수 있기에 짧은 시간에 큰 수익을 노리며 매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반등 시점을 정확히 찾아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거래량, 캔들조합 등 반등 신호에 대한 많은 분석법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고 차트가 만들어진 이후에나 후 평가가 가능한 것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상승추세 중의 고점 돌파 매수, 눌림목 매수 역시 시간이 지나 봐야 알 수 있습니다. 다만 급락하는 주식에서 반등 시점을 찾아내는 것보다는 확률적으로 보다 안전하고 성공 가능성도 높습니다.
누군가는 매수보다는 매도가 더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매수시점이 좋아야 매도시점도 좋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니 우선은 적절한 매수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와 주가 (0) | 2022.04.28 |
---|---|
손절매의 중요성과 손절매 방법 (0) | 2022.04.12 |
역발상 투자 (0) | 2022.04.09 |
추세추종 매매기법, 피라미딩 전략 (0) | 2022.03.23 |
시장 붕괴의 원인 (0) | 2022.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