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일반

역발상 투자

by 앙드레리버 2022. 4. 9.
반응형

"강세장은 비관 속에서 태어나 회의 속에서 자라며 낙관 속에서 성숙해 행복 속에서 죽는다. 최고로 비관적일 때가 가장 좋은 매수 시점이고 최고 낙관적일 때가 가장 좋은 매도 시점이다." 전설적인 투자가 존 템플턴의 이야기입니다. 아마도 역발상 투자를 가장 잘 설명한 말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시장에서 최적의 투자 타이밍은 비관론이 팽배할 때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을 비롯한 모든 이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을 때 용기 있게 투자에 나서기란 정말 쉽지 않은 일입니다.

 

마찬가지로 주가가 급등하고 모든 이들이 낙관론에 빠져있을 때 하락을 대비하는 것 역시 쉽지 않은 일입니다. 

 

역발상 투자는 인간의 본성에 반하는 투자법입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고 무리에 함께 있을 때 심리적 안정감을 얻고 생존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대다수가 가는 방향으로 함께하려는 것이지요.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결정이 옳은 선택입니다.  

 

우리가 블랙스완이라고 부르는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상황을 가정해 대중과 반대로 간다는 것은 어찌 보면 미친 짓입니다. 

 

그러하기에 진정한 역발상 투자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역발상 투자는 단지 지금의 대중과 반대로 투자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대중과 무조건 반대'라는 모토는 독립적인 의견이 아니라 또 하나의 종속적인 의견에 불과합니다. 

 

진정한 역발상 투자는 군중에서 벗어나 사실에 근거한 합리적인 판단하에 하는 것입니다. 군중심리에 휩쓸리지도 않고, 그렇다고 그들을 멍청하다고 비웃으며 무조건 반대로 가는 것도 아닙니다. 

 

진정한 역발상 투자는 현재 상태의 혼란과 단기적인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불편한 감정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즉 단기적인 전망은 모호하고 불확실한 가운데, 장기 통계 및 주요 핵심 요인들로 판단할 때 중장기적으로는 어떻게 될 확률이 높다고 도출해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판단을 통해 비이성적 상태를 확인하였다 하더라도 곧바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때를 기다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비이성적 상태는 예상외로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그것이 군중심리의 힘이고 추세의 힘입니다. 자신의 판단에 확신이 있다 하더라도 개인이 군중과 싸워 이길 수는 없습니다. 그러니 전환점이 나타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전환점을 확인하고 들어가도 늦지 않습니다. 아니 오히려 확인된 후의 주가 움직임이 보다 역동적이기 때문에 단기간에 큰 수익을 낼 수도 있습니다. 

 

기관이나 펀드의 경우 비이성적 상태를 감지하면 추세가 진행되는 상황에서도 역추세 방향으로 꾸준하게 매입을 해 나갈 수도 있습니다. 언젠가는 전환될 것이고 자금의 운용면에서 미리 대비하는 것이 옳은 선택이죠.

 

그러나 개인의 경우에는 반드시 전환점을 기다려야 합니다. 개인의 자금에는 한계가 있고 오랫동안 손실을 감수하면서 버틸 가능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평소에는 대중과 함께 추세를 따라간다.

비이성적 상태라 판단되면 잠시 물러나 관망한다.

전환점이 확인되면 지금까지와는 반대 방향으로 진입한다.

 

 

 

반응형

'투자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절매의 중요성과 손절매 방법  (0) 2022.04.12
주식 매수 시점 파악  (0) 2022.04.11
추세추종 매매기법, 피라미딩 전략  (0) 2022.03.23
시장 붕괴의 원인  (0) 2022.03.20
투자, 투기, 매매(trading)  (0) 2022.03.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