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을 통한 투자심리 파악
주가를 움직이는 것은 돈과 심리이며 이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거래량입니다.
거래량이란 일정 기간 동안 거래된 실제 계약의 수를 말합니다. 즉 누군가의 매도 요구에 매수로 대응이 되었을 때 하나의 계약이 성립되며 거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거래량은 가격 변화의 이면에 있는 강도나 긴급성을 보여줍니다. 거래량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투자자들의 심리적인 압박이 높았음을 의미합니다.
그럼 하락 추세에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장대음봉이 발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주식 보유자들은 가격 하락에 대한 불안으로 매도합니다. 이때 하락에 대한 불안이 크면 클수록 어떻게 해서든 주식을 처분하려고 하고 점점 더 낮은 가격으로 물량을 던집니다.
반대로 매수자들은 가격 하락보다는 상승 가능성을 높게 보고 이들 물량을 소화해냅니다. 만약 매수자들이 매도에 응하지 않았다면 거래량이 크게 증가할 수가 없습니다.
이제 매도자는 손실은 보았지만 마음은 편안해졌고, 매수자는 주가 등락에 예민해지기 시작합니다.
거래량을 수반한 1번 장대음봉의 매수자들은 매수 후 가격이 하락하며 마음고생을 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매수한 가격까지 올라오면 정리를 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지죠.
이때 소위 세력이 주도적으로 주가를 끌어올리지 않는 이상 상승보다는 추가 하락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 주가는 전 저점을 하향 돌파하며 한 단계 추가 하락하고, 거래량을 수반한 2번 장대음봉이 발생합니다.
그런데 1번의 경우와는 달리 장대음봉의 범위 내에서 등락을 합니다.
이 경우 반등과 추가 하락의 여부는 50:50입니다. 앞선 1번의 경우와 달리 주가 움직임을 예상하기 어렵습니다. 시장 변화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든 가능하죠.
이번에는 상승추세에서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1번의 경우 거래량이 증가하며 상승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이전 물량의 소화 과정에서 다시 밀립니다. 그러나 저점은 지지해주죠.
2번에선 저점에 대한 지지 확인 후 거래량이 증가하며 전 고점을 돌파합니다. 이후 옆으로 횡보하며 물량 소화 과정을 다시 겪습니다.
그리고 매물이 충분히 소화된 이후에는 큰 거래량 없이 주가가 크게 상승합니다.
3번에선 많이 상승한데 대한 이익실현 세력과 초기 상승 시 매수에 동참하지 못했던 사람들의 추격 매수로 장대양봉의 형태로 크게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4번에선 저점 지지가 확인되며 매수세가 유입되지만 이전 고점의 물량 소화로 상승세가 둔화됩니다.
사실 지난 차트를 놓고 분석하는 것은 아주 쉽습니다. 실제 매매 순간에는 앞으로 주가가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알 수 없고 따라서 매매에 많은 어려움이 따릅니다.
하지만 투자에 관한 인간의 기본적인 심리는 변하지 않고 거래량과 주가 변화를 통해 이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으니 이를 활용하면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투자심리는 간단합니다.
매수 가격보다 하락하면 본전 심리가 발동합니다. 그래서 손절을 잘 못하고 매수 가격까지 올라오면 팔려는 심리가 강합니다.
반대로 상승세에 편승하지 못했을 때는 초기에 진입하지 못한 안타까움에 가격이 조금만 떨어져도 매수하려는 욕구가 강합니다.
특히 호재가 나오며 분위기가 달구어지면 추가 상승세에 동참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추격매수를 하기도 하죠.
물론 주가 움직임이 이렇게 간단하지는 않지만 투자심리를 알고 거래량 변화만 잘 살펴도 투자 성공 가능성을 많이 높일 수 있으니 관심을 갖고 공부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매수시점 파악에 관해서는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주식 매수 시점 파악
주식을 매수하는 이유 사실 우리가 주식을 매수하는 이유는 아주 단순합니다. 가격이 오를 것 같아서죠. 지금 매수하면 나중에 좀 더 비싼 가격에 팔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매수하는 겁니
long-short123.tistory.com
'투자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리스크 관리 (0) | 2022.05.25 |
---|---|
주식 시나리오 매매 (0) | 2022.05.23 |
버블의 형성과 붕괴, 금융 메커니즘 (0) | 2022.05.17 |
주식시장을 움직이는 힘, 돈과 심리 (0) | 2022.05.12 |
분할 매수, 분할 매도 (0) | 2022.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