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일반

주식 투자 - 추세 매매

by 앙드레리버 2022. 10. 26.
반응형

주식 투자로 수익을 내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기본적 분석을 통해 주가가 가치보다 현저히 낮아졌을 때 매수하였다가 후에 적정 가치에 도달했을 때 매도하는 방법도 있고, 기술적 분석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은 세부적인 방법이 야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추세 추종 매매와 낙폭 과대시 반등을 노리는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모두 알다시피 추세 추종 매매는 상승 추세가 형성된 주식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전 고점 돌파시 진입하는 공격적인 방법도 있고, 눌림목(조정받을 때)에서 진입하는 다소 소극적인 방법도 있습니다. 매매 방식이야 개인의 성향에 맞는 것을 선택하면 될 것이고, 오늘은 왜 추세 매매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코스피 주간 차트
코스피 주간 차트

위의 그림은 2019년 말부터 현재까지의 주간 차트입니다. 2021년 중순까지는 상승 추세를, 이후에는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죠.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상승 추세에서는 상승은 크고 길며, 조정은 짧고 약합니다. 반대로 하락 추세에서는 하락은 길고 강하며, 반등은 짧고 미약합니다.

 

따라서 상승 추세장에서는 설사 조금 높은 가격에 진입했더라도 버티면 수익을 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하락 추세장에서는 낮은 가격에 진입했더라도 더 빠질 가능성도 있으며, 반등을 하더라도 큰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상승, 하락 추세에 상관없이 적절한 시점에 진입하지 못한다면 손해를 볼 수 있지만, 상승세에 진입했을 경우에는 하락세에 진입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손실 위험이 적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추세 전환 시점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입니다. 하락세에서 상승세로 전환되는 시점에 진입하고, 상승세가 끝나고 하락세로 전환되는 시점에 나온다면 최고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 테니까요. 하지만 이것을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추세 전환 신호로 많이 알려진 기본적인 방법을 이용해 그저 예상해 볼 수 있을 뿐입니다. 상승세로의 전환은 저점 지지, 하락세로의 전환은 고점 저항입니다. 즉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저점을 높이며 상승한다면 상승세로 전환된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반대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고점을 낮추며 하락한다면(저점도 함께 하락) 하락세로 전환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마저도 상당한 기간이 지나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이고요.

 

또 한 가지 문제는 저점이 지지되었다고 하더라도 과연 '추세를 형성하며 상승세를 보일 것인가?'입니다. 이 역시 미리 알 수는 없습니다.

 

코스피 주간 차트 - 장기 횡보
코스피 주간 차트 - 장기 횡보

위의 그림은 2011년 중반기에 그동안의 상승세를 멈추고 하락한 후 2017년 상반기까지 장기간 횡보한 코스피 주간 차트의 모습입니다. 위의 그림처럼 저점 지지 후에 상승하더라도 추세적인 상승세가 아니라 장기간 횡보할 수도 있는데, 우리가 매매를 결정하는 시점에는 앞으로의 주가 움직임을 미리 알 수 없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추세 추종 매매가 확률적으로는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지만, 추세가 형성될 것인지는 미리 알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손 놓고 기다릴 수만은 없지요. 그러니 일단 가장 기본적인 원칙만 지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선 하락 추세장에서는 진입하지 않고, 저점 지지를 확인한 후에 진입합니다. 저점 지지는 저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한 후, 더 확실히는 저점이 높아지고 고점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한 후에 진입하는 것이 좋지만 이는 개인의 성향에 따라 선택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저점 지지가 확실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체 투자 금액의 일부만으로 진입합니다. 그리고 이후 주가 움직임은 알 수 없으니, 저점 지지 실패 시, 상승 추세 형성 시, 박스권 등락 시의 상황을 모두 예상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미리 작성해두고 상황에 맞게 대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투자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회사 안정성 판단 및 조회 방법  (0) 2022.12.28
예금자 보호 제도  (0) 2022.11.11
인플레이션, 미 연준의 책임  (0) 2022.10.19
주식 투자, 옳은 선택을 하자.  (0) 2022.10.11
채권 투자  (0) 2022.09.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