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일반

채권 투자

by 앙드레리버 2022. 9. 27.
반응형

요즘 금리가 급등하며 주식 시장은 하락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안으로 채권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은행이나 금융권에서 채권 투자를 권하기도 하고요. 그래서 채권 투자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피력해보려 합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직은 채권 투자를 할 시기는 아니라고 생각하며, 그 이유를 설명해보겠습니다.

 

채권 투자

채권 투자의 장점은 만기 이자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주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채권 발행 주체(기업)가 부도가 나는 경우에는 한 푼도 못 받을 수도 있지만, 이점은 일단 예외로 하고요.

 

여기서 이자가 정해져 있다는 점이 중요한데, 이 이자는 고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시장에서 거래되면서 상황에 따라 변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이자 변동을 이용해 만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중간에 팔아서 큰 수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 채권 가격과 이자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먼저 해보겠습니다. 

이자(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한다.

이자(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은 상승한다.

 

위의 설명이 금방 이해가 되시나요. 저는 처음에 공부할 때 쉽게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 나름대로 생각해낸 방법이 아래 그림입니다.

채권 가격과 금리
채권 가격과 금리

만기 수령액 100인 채권을 지금 매수한다고 가정해보죠. 지금 금리가 10입니다. 그럼 만기에 100을 받을 수 있는 채권을 90에 살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런데 금리가 20으로 갑자기 오릅니다. 그럼 만기 수령액 100인 채권을 80에 살 수 있다는 것이죠. 금리가 10에서 20으로 상승하면서, 채권 가격은 90에서 80으로 하락한 겁니다. 이제 쉽게 이해가 되시나요. 

 

자 그럼 왜 아직은 채권에 투자할 시기가 아닌지 감을 잡으셨을 겁니다. 바로 금리 상승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FOMC 회의 내용을 보면, 내년(2023년) 상반기까지는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리고, 이후에도 올린 금리 수준을 당분간 유지할 것이 확실해 보입니다. 이에 영향을 받는 한국의 기준 금리도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죠.

 

한국 채권 금리
한국 채권 금리(출처 :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위의 한국 채권 금리 움직임을 보면, 미국의 2022년 3월 기준 금리 인상 이후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두 번(10, 11월) 남은 한국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상은 기정사실이고, 미국의 공격적인 기준 금리 인상에 발맞춰 연말까지 최소 75bp, 많으면 100bp 인상도 가능한 상황입니다. 그럼 연말에는 기준금리가 3.25 ~ 3.5%에 달하게 됩니다. 이후 미국의 움직임에 따라 내년에 추가적인 인상이 있을 수도 있고요. 

 

만약 금리 인상의 여파로 금융권 부실 문제가 부각된다면 회사채 금리는 더 가파르게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2008 ~ 2009년의 움직임을 보면 국고채 10년 물의 금리는 하락하는데 비해 회사채(AA-, BBB- 등급) 금리는 크게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금융권 부실 문제가 부각되면 비슷한 움직임이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금융권 부실 문제 가능성을 언급하는 이유는 그만큼 사정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부동산 가격의 하락으로 가계 대출의 부실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습니다. 3 ~ 4%대 금리에서 7 ~ 8%대로 금리가 인상된다면 버틸 수 있는 가계가 많지 않을 것이며, 이는 금융권에 악영향을 줄 것입니다. 

 

또 일전에 언급했듯이, 저금리 기조에서도 상장사 중 41% 정도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는데, 금리가 지속적으로 인상된다면 많은 기업이 어려움에 처할 것입니다. 특히 가계 대출 금리 인상으로 인한 소비여력 감소와 맞물려 기업 매출의 감소가 예상되므로 타격은 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리인상과 한계기업

금리인상과 한계기업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 인상으로 전 세계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주가나 환율, 원유 가격 등에만 관심을 가질 뿐 기업 자체의 부실 문제에 대해

long-short123.tistory.com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금리 상승세가 지속되는 상황이고, 따라서 앞으로 채권을 더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으므로 급하게 채권 구매에 나설 필요는 없다. 특히 금융권 부실 문제가 부각될 경우 채권 가격은 더 크게 하락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조금 더 지켜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입니다.

 

*개인적인 견해이므로 참고만 하시고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면 됩니다. 다만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어떤 대상이든 합리적인 기준을 갖고 심사숙고 후에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지금은 주위의 소음에 뇌동 매매하다가는 크게 손실을 볼 수 있는 시기인만큼 조심하는 게 최고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