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일반

주식 물타기의 정의와 하는 이유, 위험성

by 앙드레리버 2022. 6. 27.
반응형

물타기의 정의, 물타기를 하는 이유

주식에서 물타기란 자신이 매수한 가격보다 주가가 하락했을 때 주식의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추기 위해 추가적으로 주식을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물타기를 하는 이유는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춤으로서 상승 시 좀 더 빨리 원금 회복 또는 수익 발생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세금, 수수료는 없다는 가정하에)

 

5만 원에 100주 매수 :  50,000원 x 100주 = 5,000,000원
주가 4만 원으로 하락, 추가 100주 매수 :  40,000원 x 100주 = 4,000,000원
평균 매수 단가 :  (5,000,000 + 4,000,000) 원 / 200주 = 45,000원

 

5만 원이던 주가가 4만 원으로 떨어졌을 때 원금을 회복하려면 1주당 1만 원이 올라야 합니다. 하지만 물타기로 평균 매수 단가를 4만 5천 원으로 낮추면 5천 원만 오르면 원금 회복이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물타기를 하죠.

 

물타기의 위험성

이처럼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데 왜 물타기를 하지 말라고 하는 걸까요?

이유는 하락 시 손실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5만 원이던 주가가 3만 원으로 하락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만약 물타기를 하지 않았다면 손실 금액은

5,000,000원(50,000원 x 100주)  - 3,000,000원(30,000원 x 100주) = 2,000,000원이 됩니다.

 

그런데 물타기로 추가 매수를 했다면 손실 금액은

5,000,000원(50,000원 x 100주) + 4,000,000원(40,000원 x 100주) - 6,000,0000원(30,000원 x 200주) = 3,000,000원이 됩니다.

 

물타기로 주식 수를 늘리면서 손실 금액이 훨씬 많아지는 것이죠. 그리고 물타기는 보통 하락 추세에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저는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물타기를 하는 이유를 2020년 상승장에서 주가가 빠질 때마다 매수를 해서 수익을 냈던 기억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때는 상승 추세였기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보통 상승 추세에서는 눌림목(주가 조정) 후에 다시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이 단기 고점에서 주식을 매수했더라도 조정 시에 추가 매수하면 다시 상승하며 수익을 내게 되죠.

 

삼성전자 일간 차트, 상승 추세
삼성전자 일간 차트, 상승 추세

삼성전자의 일간 차트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상승 추세 동안에는 단기 고점에서 매수를 하고, 주가가 떨어질 때 추가 매수를 하더라도 결국 주가는 오르기 때문에 수익이 발생합니다. 

 

오히려 그냥 처음 매수 물량만 들고 있는 것보다 저가에 계속해서 추가 매수했을 때가 수익이 훨씬 많아지죠.

 

삼성전자 일간 차트, 하락 추세
삼성전자 일간 차트, 하락 추세

그러나 하락 추세에서는 다릅니다. 하락 추세에서 주가가 빠질 때마다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추는 물타기를 하는 것은 손실 금액을 키울 뿐입니다. 

 

하락 추세에서는 매수 자체를 안 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하더라도 전체 금액의 일부만으로 손절선을 확실히 정하고 진입해야 합니다. 이마저도 나름 단기 바닥이라는 근거가 있어야 하고요.

 

주식 투자가 어려운 이유는 상황(상승, 하락, 횡보)에 따라 대응하는 방법이 달라야 하는데, 이러한 상황 파악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이후에나 확인 가능하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리고 특정 상황에서 특정 방법으로 수익을 얻었을 경우, 상황이 변했을 때 이를 바꾸기가 쉽지 않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개인적으로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추는 물타기는 어떤 상황에서든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며, 적어도 하락 추세에서는 절대로 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물타기에 대한 글을 올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