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기실사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
기업 경영자들이 경기 전망을 어떻게 보는지 나타내는 지표.
기업가의 경기에 대한 판단, 전망 등이 생산, 매출, 투자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감안,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지수로 0 ~ 200의 값을 가지며 100보다 클 때는 긍정적 시각의 기업의 수가 부정적 시각의 기업의 수보다 많음을 의미합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실적과 전망, 전체 산업, 제조업, 비제조업 등과 업황, 매출 등으로 세분화된 다양한 지표가 있습니다.
구분 방법에 따라 지표 값의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인 움직임은 유사합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 : Consumer Composite Sentiment Index)
한국은행이 매월 전국 2,2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소비자동향조사에서 산출하는 소비자동향지수 중 현재 생활형편, 생활형편 전망, 가계수입 전망, 소비지출 전망, 현재 경기판단, 향후 경기전망에 대한 6개의 개별지수를 표준화하여 합성한 지수로, 소비자심리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데 사용합니다.
소비자심리지수 100은 2003년 1월 ~ 2015년까지의 장기 평균을 의미하며, 소비자심리지수가 100 이상(이하)이라면 소비자가 체감하는 경기 상황이 앞선 장기 평균에 비해 낙관적(비관적) 임을 나타냅니다.
기업경기실사지수와 코스피
위의 그림은 기업경기실사지수와 코스피 움직임을 비교한 것입니다.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사태 등 긴박한 상황에서는 등락폭에 큰 차이를 보였지만 전반적으로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업경기실사지수로 코스피 움직임을 예상해보려는 생각에서 만들어봤는데 실제 코스피 전망에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 같네요.
'투자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달러 인덱스(U.S. Dollar Index) (0) | 2022.07.23 |
---|---|
경상수지, 그리고 환율과의 관계 (0) | 2022.07.21 |
주식 물타기의 정의와 하는 이유, 위험성 (0) | 2022.06.27 |
복잡계 주식 시장과 투자 방법(기술적, 기본적 방법) (0) | 2022.06.13 |
지수 하락장에서 수익내는 방법 (0) | 2022.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