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적 분석

이동평균선 분석법

by 앙드레리버 2022. 3. 8.
반응형

이동평균선은 기술적 분석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지표이다. 기본적으로 추세 파악 지표이고 매매시점을 선택하는 지표로도 많이 사용되며 다양한 분석 방법이 있다.

 

이동평균선 분석 방법

 

1. 추세(방향성) 분석

이동평균선 분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주가가 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가를 보는 것이다. 5일 이동평균선 만으로도 단기적인 추세 파악은 가능하다. 단 5일선(단기) 만을 이용할 경우 상승, 하락이 반복되며 상당한 혼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중, 장기 이동평균선으로 보다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한 상태에서 단기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 좋다. 

 

주식 정배열 차트
정배열 차트, 골든크로스, 지지선

 

주식 역배열 차트
역배열 차트, 데드크로스, 저항선

2. 지지선, 저항선 분석

종종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이나 저항선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상승하던 주가가 조정을 받을 때 이동평균선 부근까지 하락했다가 조정을 끝내고 다시 상승하며 지지선 역할을 한다. 반대로 하락하던 주가가 반등을 시도하지만 이동평균선 부근에서 그치고 다시 하락하며 저항선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명심해야 할 것은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이나 저항선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미리 예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동평균선이 이러한 역할을 할 것인지, 아닌지 여부는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 후에 대응해야 한다. 

 

3. 배열 분석

각 이동평균선의 위치를 살피는 것이다. 정배열은 단기 이동평균선이 가장 위에 있고 순차적으로 배열을 이룬다. 즉 위에서부터 5일선 - 20일선 - 60일선 - 120일선 순으로 이동평균선이 배열되며 강한 상승세를 의미한다. 반대로 이동평균선이 위에서부터 120일선 - 60일선 - 20일선 - 5일선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면 역배열 상태로 강한 하락세를 의미한다.

 

4. 크로스 분석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 장기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는 경우로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로 구분된다. 골든크로스는 역배열 상태의 단기 이동평균선(5일선)이 중, 장기 이동평균선(20, 60, 120일선)을 교차하며 위로 뚫고 올라가는 시점을 말한다. 특히 바닥권에서의 골든 크로스는 장기 하락세를 마무리하고 상승세로 전환되는 중요 포인트가 될 수도 있다. 반대로 데드 크로스는 정배열 상태의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뚫고 내려가는 시점을 말한다.

 

5일선의 20일선 돌파는 자주 발생하며 이것이 일시적인 조정이나 반등에서 그칠지 아니면 추세전환의 신호인지는 미리 알 수 없다. 결국 추세전환 여부는 5일선이 120일선을 돌파하고 정배열, 역배열이 완성된 이후에나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로스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단기 이동평균선의 중, 장기 이동평균선 돌파는 기존 추세의 강도가 약해졌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장에 대한 주의를 좀 더 기울여야 한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