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는 시장이 움직이는 방향이고 시장의 움직임은 일련의 연속적인 파동을 보인다고 앞에서 설명했다. 그렇다면 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연속적인 파동의 고점(봉우리)과 저점(골짜기)을 연결하는 선을 그어 추세를 파악할 수 있는데 이렇게 연결한 선을 추세선이라고 한다.
추세선의 신뢰도
추세선은 다음의 몇 가지 조건에 따라 그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1. 추세선의 길이
일반적으로 추세선의 길이가 길수록 신뢰도가 높다. 추세선의 길이가 짧다면 예상외의 급등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세선이 길어야 그만큼 주가가 진행하는 방향이 강함을 나타낸다.
2. 추세점의 개수
추세선을 그으려면 최소한 2개 이상의 고점과 저점이 필요하며 보다 정확하게 그리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고점, 저점이 필요하다. 단 추세점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추세가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뜻하므로 기존 추세가 약화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3. 추세선의 각도
추세선의 각도가 가파른 경우 시장이 과열 상태임을 보여주며 따라서 추세전환 확률이 높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추세선이 완만한 경사를 이룰수록 신뢰도가 높다.
추세가 상승, 하락, 수평이 있듯이 추세선도 상승 추세선, 하락 추세선, 수평 추세선을 그을 수 있다. 상승 추세선은 일련의 높아지는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선을 그어주며 우상향의 모습을 보인다. 하락 추세선은 일련의 낮아지는 고점과 고점을 연결한 선을 그어주며 우하향의 모습을 보인다. 수평 추세선은 저점과 고점이 일정한 형태, 저점은 비슷하나 고점이 차이가 나는 형태, 고점. 저점이 모두 재 각각인 형태가 있다.
실제 차트에서 추세선을 명확하게 그을 수 있는 경우는 많지 않다. 특히 고점, 저점의 위치에 따라 여러 추세선을 그어야 하는 경우도 생기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장기, 중기, 단기 추세선을 각각 그어 표시하기도 한다. 추세선은 시장의 방향을 파악하는데 좋은 지표이며 시장의 큰 흐름을 알고 시장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매매를 한다면 수익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기술적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캔들(봉)의 기본 형태와 의미 (2) | 2022.03.10 |
---|---|
이동평균선 분석법 (0) | 2022.03.08 |
차트분석의 기본, 이동평균선 (0) | 2022.03.07 |
추세의 정의와 추세분석의 중요성 (0) | 2022.03.05 |
기술적 분석의 의미와 이론적 근거, 활용법 (0) | 2022.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