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격도
[이격도의 정의, 의의]
이격도는 주가와 이동평균선 사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당일의 주가를 이동평균선으로 나눈 백분율로 표시하며, 중. 단기 투자 시점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공식 : (당일 종가 / 당일의 n일 이동평균 주가) x100 |
이격도가 유의미한 지표인 이유는 주가는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멀어지면 언젠가는 다시 이평선으로 되돌아오려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격도 분석 방법]
이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나 이하에서 변곡점이 발생하거나 기준값을 돌파하면 매매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보통 매도보다는 매수시점을 판단하는데 유용합니다.
20일과 60일 이동평균선을 많이 사용하며 20일 이평선을 사용하는 경우 이격도가 105% 이상이면 과열(매도), 95% 이하이면 침체(매수) 신호로, 60일 이평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110% 이상이면 과열, 90% 이하이면 침체 신호로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60일 이평선을 사용하여 이격도가 120% 이상일 때, 그리고 80% 이하일 때를 의미 있는 수준으로 생각합니다.
[이격도 사용 사례와 주의점]
상승, 하락 추세가 강력한 경우 이격도가 상당히 크게 벌어질 수 있으며 단순히 이격도가 크다는 이유만으로 기존 추세에 반하는 움직임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해서는 안 됩니다.
상승 추세가 강한 경우 위의 차트처럼 60일 이평선과의 이격도가 과열권인 120%를 훨씬 넘어서 200% 이상으로 벌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하락 추세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위의 차트처럼 이격도가 주가 움직임에 유의미한 신호를 보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위의 두 사례에서 처럼 이격도가 주가 움직임을 예상하는데 효과적일 수도, 반대로 아무 의미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는 모든 지표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완벽하게 주가 움직임을 예상할 수 있는 지표는 없습니다.
따라서 이격도는 캔들(조합)과 이동평균선(배열), 거래량 등과 함께 살펴보는 하나의 보조 지표 정도로만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술적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차트의 빈 공간, 갭(gap) (0) | 2022.07.21 |
---|---|
기술적 분석 지표, 스토캐스틱 슬로우(Stochastic Slow) (0) | 2022.07.13 |
차트 분석, 장단기 차트를 동시에 살피자. (0) | 2022.06.19 |
매물대 차트 (0) | 2022.05.18 |
상승전환형 반전 패턴 - V자형 (0) | 2022.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