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 지표, 이격도

by 앙드레리버 2022. 7. 1.
반응형

이격도

[이격도의 정의, 의의]

이격도는 주가와 이동평균선 사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당일의 주가를 이동평균선으로 나눈 백분율로 표시하며, 중. 단기 투자 시점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공식 : (당일 종가 / 당일의 n일 이동평균 주가) x100

이격도가 유의미한 지표인 이유는 주가는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멀어지면 언젠가는 다시 이평선으로 되돌아오려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격도 분석 방법]

이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나 이하에서 변곡점이 발생하거나 기준값을 돌파하면 매매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보통 매도보다는 매수시점을 판단하는데 유용합니다. 

 

20일과 60일 이동평균선을 많이 사용하며 20일 이평선을 사용하는 경우 이격도가 105% 이상이면 과열(매도), 95% 이하이면 침체(매수) 신호로, 60일 이평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110% 이상이면 과열, 90% 이하이면 침체 신호로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60일 이평선을 사용하여 이격도가 120% 이상일 때, 그리고 80% 이하일 때를 의미 있는 수준으로 생각합니다.

 

[이격도 사용 사례와 주의점]

상승, 하락 추세가 강력한 경우 이격도가 상당히 크게 벌어질 수 있으며 단순히 이격도가 크다는 이유만으로 기존 추세에 반하는 움직임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해서는 안 됩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일간 차트, 상승추세에서의 이격도 확대
두산에너빌리티 일간 차트, 상승추세에서의 이격도 확대

상승 추세가 강한 경우 위의 차트처럼 60일 이평선과의 이격도가 과열권인 120%를 훨씬 넘어서 200% 이상으로 벌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하락 추세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일간 차트, 이격도 유효한 상황
두산에너빌리티 일간 차트, 이격도 유효한 상황

위의 차트처럼 이격도가 주가 움직임에 유의미한 신호를 보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위의 두 사례에서 처럼 이격도가 주가 움직임을 예상하는데 효과적일 수도, 반대로 아무 의미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는 모든 지표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완벽하게 주가 움직임을 예상할 수 있는 지표는 없습니다.

 

따라서 이격도는 캔들(조합)과 이동평균선(배열), 거래량 등과 함께 살펴보는 하나의 보조 지표 정도로만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