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캔들(봉) 차트를 많이 사용합니다. 여기에 거래량과 이동평균선을 추가해서 보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죠.
그런데 거래량이 많았던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 매물대 차트를 추가해서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매물대 차트 사용 이유 - 지지, 저항 지점 예상
매물대는 주식 매물 차트에서 일정 기간 동안 특정 가격대에서 거래된 물량을 막대형 그래프로 도식화한 것을 말하며, 흔히 매수량과 매도량이 많아 거래가 크게 증가했던 가격대를 매물대라고 합니다.
매물대를 살피는 이유는 주가의 하락, 상승 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예상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주가가 하락할 때 밑에 긴 매물대가 존재한다면 지지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주가가 상승할 때 위로 긴 매물대가 존재한다면 저항 가능성이 높아지죠.
반대로 주가가 하락할 때 밑에 매물대가 없다면 주가가 크게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주가가 상승할 때 위로 매물대가 없다면 주가는 쉽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죠.
이러한 매물대가 절대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손익에 관한 인간 심리를 고려하면 유의미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그리고 매물대 차트는 기간이 변함에 따라 매물대의 위치가 바뀝니다. 쉽게 말해 기간을 3개월로 했을 때와 1년으로 했을 때 매물대가 완전히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간 설정은 주가의 움직임이 어떠했는가를 고려해 정하되 보통은 6개월 정도, 최대 1년 이하로 기간 설정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매물대 차트 사용 예
하락 추세의 LG생활건강 2021년 12월까지의 매물대 차트입니다.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던 지점을 하향 돌파하며 위쪽으로 매물대가 존재합니다.
이경우 위쪽 매물대가 저항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고, 상승 돌파하려면 많은 거래량을 필요로 합니다.
2개월 후의 차트입니다. 위쪽 매물대 돌파에 실패하고 저점을 깨며 한 단계 추가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거래량이 증가하며 아래로 긴 매물대가 만들어졌죠.
이경우 지지에 성공한다면 위로 매물대가 없어 적어도 전 저점까지는 쉽게 반등하리라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개월 후의 차트를 보면 지지에 실패하며 오히려 위로 매물대가 형성되어 저항선 역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하락 추세(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일 때)에서는 지지에 실패하면 이 지점이 바로 저항선(매물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매수에 신중해야 합니다.
반대로 상승추세에 위쪽으로 매물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교적 수월하게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물론 상승하며 거래량이 증가하는 시점에 매물대가 형성되지만 보통은 지지선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캔들 차트와 이동평균선, 거래량 지표만으로도 주가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물대 차트를 이용하면 보다 쉽게 지지와 저항선을 예상해 볼 수 있기 때문에 함께 사용하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기술적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적 분석 지표, 이격도 (0) | 2022.07.01 |
---|---|
차트 분석, 장단기 차트를 동시에 살피자. (0) | 2022.06.19 |
상승전환형 반전 패턴 - V자형 (0) | 2022.04.29 |
주식 전환(반전)형 패턴 체크 사항 (0) | 2022.04.24 |
지지와 저항 (0) | 2022.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