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수 및 종목 전망

2022년 6월, FOMC 회의 결과와 시장 전망(한국 기준금리, 원-달러 환율)

by 앙드레리버 2022. 6. 16.
반응형

FOMC 회의 결과

6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p 인상하였습니다. 이번 인상폭은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최대 인상으로, 그만큼 높은 물가를 잡으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상외의 큰 폭 인상이라는 뉴스도 있지만 시장에서는 대부분 75bp 인상을 기정 사실화하고 있었으며, 미국 3대 주가 지수가 모두 상승한 것을 보면 이를 알 수 있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금리 인상폭이 "이례적으로 큰(unusually large one)" 폭이었음을 언급하면서도, 다음 회의에서 50bp 또는 75bp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연준은 2022년 기준 금리가 3.4%로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현재 1.75%), 이는 3월의 1.9% 전망치를 크게 상회하는 것입니다. 

 

또 연준의 대차대조표(B/S) 축소(양적 긴축) 계획이 수요일 첫 번째 부채(재무부 증권)의 만기가 도래하면서 진행되었습니다. B/S축소는 월 최대 475억 달러 규모 감축을 시작으로 9월 최대 950억 달러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시장 전망

1. 한국 기준금리

 

한국, 미국 기준금리, 원-달러 환율 차트
한국, 미국 기준금리, 원-달러 환율 차트

 

이번에 미국이 기준금리를 0.75%p 인상하면서 한국과 기준금리가 같아졌습니다. 7월 14일 예정인 금통위 회의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알 수 없으나 최소 25bp 인상은 당연하고, 50bp 인상도 가능해진 상황입니다.

 

국내 물가만 고려한다면 25bp 인상 후 상황에 따라 점진적으로 올리는 방식을 택하겠지만, 미국이 앞으로도 50bp 혹은 75bp씩 올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금리 역전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에 고민이 깊을 것 같습니다.

 

미국이 한국보다 금리가 높았던 적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2018년 3월 ~ 2020년 3월). 또 한은 총재도 미국의 상황보다는 국내 여건에 맞게 금리를 조정할 것이라고 언급한 봐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외 여건이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이어서 선제적으로 큰 폭의 인상(50bp)을 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2. 원-달러 환율

환율에 대해서는 기존 전망(두 번째 시나리오)을 계속 유지합니다.

 

2022년 6월, 원-달러 환율 전망 & 미국 Core PPI와 기준금리로 본 중기 전망

6월, 원-달러 환율 전망 5월 환율 전망에서 금융위기와 같은 큰 악재만 발생하지 않는다면 월간 기준으로 연속해서 환율이 급등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소폭 등락을 예상했었습니다. 그리

long-short123.tistory.com

미국이 기준금리를 75bp 인상했고, 앞으로도 50bp씩 추가적인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여 달러의 강세가 당분간은 지속될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원-달러 환율 주간 차트
원-달러 환율 주간 차트

 

주간 차트상 계속 위 꼬리를 단 유성형이 나오며 고점에서 저항을 받는 모습이지만 외국인 자금이 계속 이탈하는 상황이어서 고점은 돌파될 것으로 보이며, 상승폭과 강도는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이기에 예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