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수 및 종목 전망

5월 FOMC 회의 결과와 시장 전망

by 앙드레리버 2022. 5. 5.
반응형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회의에서 정책금리 0.50%P 인상, 6월 1일부터 대차대조표(B/S) 축소(양적 긴축) 시행 등이 결정되었습니다. 

 

B/S축소는 월 최대 475억 달러 규모(국채 300억, MBS.기관채 175억) 감축을 시작으로 9월 최대 950억 달러(국채 600억, MBS.기관채 350억)로 확대된다는 내용입니다. 

 

또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0.75%P 인상은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지는 않으며, 향후 몇 차례 회의에서 0.50%P 인상이 논의되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소식이 전해지고 다우존스 2.81%, S&P500 2.99%, 나스닥 3.19% 상승했습니다.

 

미 뉴욕증시의 상승은 FOMC의 결정이 예상 수준에 그쳤을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0.75%P의 상승 전망도 있었던 터에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미 연준 의장의 말에 긍정적으로 반응한 결과로 보입니다. 

 

시장에서 불확실성이 해소되었고 앞으로 있을 금리 전망도 예상 범위, 혹은 예상보다 낮은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지요. 

 

FOMC 회의 내용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우선 미 연준 의장의 "0.75%P 인상은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는 내용은 현재 상황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만약 물가 상승세가 꺾이지 않는다면 여전히 고려할 수도 있는 카드라고 생각합니다.

 

물가 상승세에 대한 부담은 "향후 몇 차례 회의에서 0.50%P 인상이 논의되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는 대목에 잘 나타나 있으며, 앞으로 최소 2차례 정도 0.50%P 인상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양적 긴축입니다. 6월 1일부터 월 최대 475억 달러 규모의 감축을 시작으로 9월에는 최대 950억 달러 규모로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금리로 자금 수요를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미 풀린 돈을 거둬들이겠다는 내용으로, 시장에서는 예상한 수순이라는 반응이지만 금리 인상과 더불어 나중에는 이슈가 될 소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시장 전망

미국 시장은 예상보다 낮은 수준의 발표에 주가가 상승하긴 했지만 반등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전고점을 뚫고 다시 상승세로 전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봅니다.

 

예상보다 낮은 수준일 뿐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예고된 상황이고, 더욱이 양적 긴축을 통해 시장에 돈이 줄어드는 가운데 주식시장이 상승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모두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S&P500 주간 차트로 설명을 드리면 최대 상승폭은 20 주선 정도에 그칠 것으로 생각합니다. 

 

S&P 500 주간 차트
S&P 500 주간 차트

만약 전 고점을 돌파하고 이후 조정이 전 저점보다 높은 위치에서 마무리된다면 상승세로의 전환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이럴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시장 전망

한국 시장은 미국 시장보다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선 미국의 금리 인상에 맞춰 국내 금리도 상승할 것이고 이는 기업, 가계 모두에 상당한 부담을 줄 것입니다. 그만큼 주식시장에 투자할 자금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고요.

 

또한 미국의 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은 외국인 투자 자금이 미국으로 빠져나가는 결과로 연결될 것이기에 이들의 적극적인 투자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개인, 기관, 외국인 투자자 모두 적극적인 매수를 하기 어려운 상황이니 주가가 상승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코스피 일간 차트
코스피 일간 차트

유동성이 축소되는 상황이라 매물대를 뚫고 상승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박스권 내에서 움직이거나 최저점을 뚫고 하락할 가능성도 염두해둬야 합니다.

 

아직은 하락 추세 가운데 횡보하는 장세로 바닥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주변 여건도 우호적이지 않기 때문에 좀 더 관망하며 시장의 흐름을 살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