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일반

미 국채 스프레드와 경기침체, 그리고 S&P 500 지수 움직임

by 앙드레리버 2022. 8. 17.
반응형

5월 초에 미 국채 스프레드 변화(장단기 금리차 역전)를 통한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었습니다. 

 

미 국채 스프레드(장단기 금리차)& 경기 예측

경기 예측을 하는 지표는 다양하지만 오늘은 미 국채 스프레드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에 비해 높은 수준에서 형성됩니다. 이는 미래

long-short123.tistory.com

당시에는 4월 1일과 5일, 이틀 동안만 (-) 값을 보였고 금리차 역전 현상은 바로 해소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다시 금리차 역전 현상이 진행되고 있어 향후 경기 상황에 좀 더 주의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미국 장단기 금리차 1999.1부터 - 현재
미국 장단기 금리차 1999.1부터 - 현재(회색구간 -경기침체)

과거 데이터를 보면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발생한 후에는 경기침체를 겪었습니다. 그런데 7월 6일부터 금리차 역전이 지속되고 있어 앞으로 경기 침체 발생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사실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분기 -1.6%, 2분기 -0.9%를 기록하며 '기술적 경기침체' 기준은 충족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를 판단하는 주체인 전미경제연구소(NBER)에서는 GDP 증가율 외에 다양한 요소들(고용, 소득, 지출, 생산 등)을 고려하여 경기침체 여부를 결정하는데, 현재 다른 요소들을 고려했을 때 경기침체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 같습니다. 

 

S&P 500 월간 차트 & 경기침체 구간
S&P 500 월간 차트 & 경기침체 구간

위의 그림은 S&P 500 월간 차트에 경기침체 구간(파란색)을 표시한 것입니다. 경기침체 구간과 지수 하락 구간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앞으로 경기침체가 발생할 것이라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과거의 데이터를 보면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발생한 후에는 반드시 경기침체를 겪었고, 경기침체 시기에는 미국의 주가 지수가 하락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의 주가 지수 반등 상황이 상승 추세 전환으로 연결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상승보다는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반등이 멈추고 다시 하락세로 전환된다면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줄 것이 분명하므로, 향후 투자에 있어 좀 더 조심스러운 접근을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