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수 및 종목 전망

2022년 하반기, 은행주 주가 전망

by 앙드레리버 2022. 7. 18.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 기준 금리 변화와 금융업 지수 움직임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기준 금리 변화와 금융업 지수 관계 & 금융업 전망

오늘은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변화와 금융업 지수 움직임 간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후 금융업 전망을 해보려 합니다. 기준 금리 변화와 금융업 지수 일반적으로 기준 금리가 인상되면 금

long-short123.tistory.com

간단하게 정리하면 금리 바닥 시기에 지수가 상승하기 시작해 금리 정점에 도달하기 훨씬 전에 지수가 하락하는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금리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금융업종에 대한 투자는 고려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금융업종 중에서 은행주에 대한 2022년 하반기 주가 전망을 해보겠습니다.

 

2022년 하반기, 은행주 주가 전망

은행주 가운데 대표적인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의 움직임을 살펴보고 하반기 전망을 해보겠습니다. 서로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에 대표로 KB금융과 기준 금리, 원/달러 환율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후 개별 기업의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기준금리와 KB금융 주가
기준금리와 KB금융 주가

앞서 금융업 지수와 기준금리의 관계에서 확인한 것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금리 바닥 시점에 주가는 바닥에서 상승세로 전환되며 금리 정점에 도달하기 훨씬 전부터 주가는 고점을 찍고 하락세로 전환되는 모습입니다. 

 

원/달러 환율과 KB금융 주가
원/달러 환율과 KB금융 주가

환율과 주가 움직임을 살펴보면 2008년 금융위기 시기를 비롯해 대체적으로 환율이 높았던 시기(원화 가치 하락)에 주가는 약세를 보이고 환율이 낮았던 시기(원화 가치 상승)에는 주가가 강세를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은행주에 대한 투자 적기는 환율이 정점을 찍고 하락하기 시작할 때, 그리고 금리가 바닥을 찍을 때라는 것은 알 수 있습니다. 

 

그럼 2022년 7월 현재, 금리와 환율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금리는 빠르게 오르고 있고, 환율은 급등하며 1,300원대를 돌파하였습니다. 그리고 금리와 환율의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투자 적기와는 완전히 반대되는 상황이며, 실제 주가도 그렇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KB금융, 하나지주 월간차트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월간차트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월간차트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월간차트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의 월간 차트를 보면 고점, 저점의 등락폭은 다르지만 전체적인 파동의 형태(비슷한 시기에 저점과 고점을 형성)는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가 상승에 따른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한국의 금리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일 것이고, 환율도 계속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이러한 분위기는 2022년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최근에는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 보유금 문제까지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의 급락으로 고점 대비 주가가 많이 싸졌다는 느낌이 들 수도 있지만 금리, 환율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고 앞서 언급한 이들 지표와 주가의 움직임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추가적인 하락이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입니다.

 

따라서 금리, 환율 지표가 투자 적기를 나타내는 시점(금리 바닥, 환율 정점에서 하락 시점)까지는 은행주에 대한 투자는 고려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